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인텔 배틀그라운드 스매쉬 컵 2020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역대 배틀그라운드 스매쉬 컵 일람
대회 출범Danawa e-sportsVSG
인텔 배틀그라운드 스매쉬 컵 2020배틀그라운드 스매쉬 컵 2020 시즌 2

파일:BSC_Winner.jpg

파일:스매시컵 배경.jpg

파일:INTEL BSC 2020 logo.png 인텔 배틀그라운드 스매쉬 컵 2020
대회 기간2020년 1월 16일 ~ 1월 19일
진행 시간매일 16시
주최펍지 주식회사
주관OGN
후원인텔조위기어
경기장Facebook Gaming Arena
참가팀32개 팀[1]
총 상금8000만원
에란겔, 미라마, 사녹
모드스쿼드 1인칭
중 계
[ 펼치기 · 접기 ]
중계 플랫폼TV
OGN
온라인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TVING 로고.svg
중계진 캐스터
심지수, 김의중
해설자
고수진, 김정민, 김동연
일 정
[ 펼치기 · 접기 ]
Group
Stage
A조
1월 16일
B조
1월 17일
Losers
Bracket
패자부활전
1월 18일
Final파이널
1월 19일
결 과
[ 펼치기 · 접기 ]

1. 개요
2. 참가팀
2.1. PKL 팀 자격 참가팀
2.2. PKC 팀 자격 참가팀
2.3. KeSPA 팀
3. 대회 방식
3.1. 경기 룰
3.2. 포인트 매트릭스
4. 경기 진행
5. 대회 결과
6. 평가
7. 이모저모
7.1. 공식 홍보 영상



1. 개요[편집]


2020년 1월 16일부터 1월 19일까지 진행된 배틀그라운드 대회. 한국 배틀그라운드 프로팀, 아마추어 팀을 포함해 2019시즌 1, 2, 3부[2] 리그에서 총 32개 팀이 참가한다.

기존 진행되던 배틀그라운드 대회들은 SUPER 룰의 포인트 매트릭스 제도[3]에 따라 진행되었으나 본 대회에는 1등 팀에게만 10점, 페이즈 별로 킬 포인트를 차등 지급하는 제도를 사용한다. 여담으로 순위 포인트를 1등 팀에만 10점을 지급, 기타 순위에는 점수를 부여하지 않는 포인트 지급 방식은 서울컵 OGN 슈퍼매치 2018 때와 같다. 킬 포인트를 페이즈에 따라 차등 지급하는 방식은 본 대회에서 새롭게 선보이는 방식이다.

우승 팀에게는 마닐라에서 개최되는 아시아 퍼시픽 프레데터 리그 2020의 출전권이 부여된다.


2. 참가팀[편집]


한국 배틀그라운드 e스포츠 리그인 2019 PKL 페이즈 3, 2019 PKC 페이즈 3의 활동팀과 KeSPA 정규클럽대회에서 1위를 한 아마추어 3개 팀이 참가한다.


2.1. PKL 팀 자격 참가팀[편집]




2.2. PKC 팀 자격 참가팀[편집]




2.3. KeSPA 팀[편집]


아마추어 참가팀
파일:Practice Makes Perfect logo png.png파일:SAMUEL e-sports club logo.png파일:Guters_logo.png
Practice Makes PerfectSAMUEL E-SPORTS CLUBGuters


2.4. 로스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인텔 배틀그라운드 스매쉬 컵 2020/로스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대회 방식[편집]


  • Group Stage (그룹 스테이지)
32개 팀은 16개 팀씩 2개 조로 나뉘어서 경기를 진행하는데, 각 조의 1~4위는 파이널로 직행하며 5~12위는 패자부활전 진출, 13~16위는 탈락하게 된다.

  • Losers Bracket (패자부활전)
그룹 스테이지 각 조의 5~12위인 16개 팀이 경기를 진행해 1~8위는 파이널에 진출, 9~16위는 탈락한다.

  • Final (파이널)
최종 파이널에 진출한 16개 팀인 그룹 스테이지 각 조의 1~4위 팀, 패자부활전 1~8위 팀이 경기를 진행해 우승 팀을 가린다.


3.1. 경기 룰[편집]


본 대회는 포인트 매트릭스를 제외하고 배틀그라운드 e스포츠 규정 SUPER에 따라 진행된다.

블루존 이동 속도
[ 에란겔 및 미라마 ]
페이즈지연(s)대기(s)이동(s)초당 피해량축소확산육지 비율
1901802700.60.40.50
2901200.80.550.560
36012010.60.560
46015030.60.561
55012050.650.560
65012080.650.560
75090100.650.560
85060140.70.561
910160180.001100
[ 사녹 ]
페이즈지연(s)대기(s)이동(s)초당 피해량축소확산육지 비율
1901202400.60.40.50
2901200.80.70.560
36012010.60.561
46010030.60.560
5508050.650.560
6506080.650.561
72040100.650.560
81040140.60.560
910100180.001100

아이템 드랍률
[ 에란겔 아이템 드랍률 ]
탄약
탄약1
석궁용 볼트0
플레어0
무기
저격소총(SR)1.5
지정사수소총(DMR)2
돌격소총(AR)1.4
엽총(HR)0
경기관총(LMG)0.4
기관단총(SMG)1.8
산탄총(SG)0.9
권총0.4
투척 무기1.3
섬광탄1.2
수류탄0.7
화염병1.1
연막탄1
근접 무기1.7
석궁0
플레어 건0
총기 부착물
조준기 부착물1
탄창 부착물0.5
총구 부착물0.7
하단 레일1.2
개머리판 부착물1.5
석궁용 화살통0
소모품
치료 아이템1
부스트 아이템0.9
연료통0.3
장비
배낭0.6
헬멧0.8
방탄조끼0.8
0
조정 가능한 비율 & 조정 가능한 전체 수 : 1.8
[ 미라마 아이템 드랍률 ]
탄약
탄약1.1
석궁용 볼트0
플레어0
무기
저격소총(SR)3
지정사수소총(DMR)3
돌격소총(AR)1.6
엽총(HR)0.8
경기관총(LMG)0.8
기관단총(SMG)1.7
산탄총(SG)0.9
권총0.3
투척 무기1
섬광탄1.2
수류탄0.5
화염병1.2
연막탄1
근접 무기1.7
석궁0
플레어 건0
총기 부착물
조준기 부착물1.1
탄창 부착물1.1
총구 부착물0.6
하단 레일1.2
개머리판 부착물1
석궁용 화살통0
소모품
치료 아이템1
부스트 아이템1
연료통0.3
장비
배낭0.8
헬멧0.9
방탄조끼0.8
0
조정 가능한 비율 & 조정 가능한 전체 수 : 1.8
[ 사녹 아이템 드랍률 ]
탄약
탄약1
석궁용 볼트0
플레어0
무기
저격소총(SR)3
지정사수소총(DMR)2
돌격소총(AR)1.5
석궁0
플레어 건0
총기 부착물
개머리판 부착물1
석궁용 화살통0
소모품
연료통0
0
조정 가능한 비율 & 조정 가능한 전체 수 : 1


노란색 점 - 차량 고정 스폰
빨간색 점 - 보트 고정 스폰



3.2. 포인트 매트릭스[편집]


포인트 매트릭스
순위 포인트킬 포인트
매치 1위10점Phase 1~23점
Phase 3~42점
Phase 5~1점
이번 대회는 기존 진행되던 대회들과 다르게 순위 포인트는 매치 1위에게 10점을 부여, 기타 순위에는 점수를 부여하지 않고 킬 포인트는 페이즈 별로 차등 부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경기 초반인 페이즈 1~2에 킬 포인트를 3점을 부여하기 때문에 만약 초반 4:4 스쿼드 멸망전에서 승리할 경우 무려 12점을 획득하고 시작하게 된다. 12점은 기존 대회 방식대로라면 2킬 우승, 6킬 2위와 같은 가치를 갖는다. 즉 이는 초반 교전을 장려해 배틀그라운드 대회의 단점 중 하나로 지적되는 '초반의 지루함'을 없앨 수 있다는 의견이 많다.

다만 배틀그라운드는 '생존게임'인데, 1~2페이즈에 너무 많은 킬 포인트를 부여하면 매치 우승 팀보다 더 많은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는 점, '킬'의 가치가 너무 올라간다는 점 등에서 '생존'의 가치가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의 시선도 있다.

하지만 BJ들이 스매쉬컵 스크림 방송을 진행하고 대회가 진행되면서 포인트 매트릭스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이 더 많아졌다. 대다수의 팀들이 외곽 운영을 통해 진입하는 팀을 잠그는 플레이를 하면서 이번 대회가 사실상 킬내기나 다름없다는 의견이 많고, 배틀그라운드는 기본적으로 생존게임인데도 불구하고 1등을 하기 위해 경기를 운영하는 것보다 초반 킬을 먹는 것이 더 유리하다는 점에서 모순이 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OGN ENTUS의 Under 선수는 트위터에 대회 명인 SMASH CUP의 SMASH를 smashit이라고 표현하며 해당 룰에 대한 비판적인 시선을 드러내기도 해 화제가 되었다.


4. 경기 진행[편집]




||



5. 대회 결과[편집]


파일:INTEL BSC 2020 logo.pngINTEL BSC 2020
챔피언
||
파일:Danawa e-sports logo.png
순위표
순위경기그룹
스테이지
패자부활전파이널상금비고
1위파일:Danawa e-sports logo.pngDanawa e-sports15374571₩ 30,000,000우승, APAC 출전
2위파일:OP.GG SPORTS.pngOP.GG SPORTS15436757₩ 15,000,000준우승
3위파일:VRLU_GHIBLI_logo.pngVRLU GHIBLI1071-54₩ 10,000,000파이널
4위파일:STADOM.pngSTARDOM Esports15255454₩ 5,000,000
5위파일:AW-Logo-sc.pngAsura Walk1051-50
6위파일:Team_VSG.pngVSG15405148
7위파일:emtek-stormx-e-sports.pngemTek StormX e-Sports15256638
8위파일:Afreeca Freecs logo.pngAfreeca Freecs1051-37
9위파일:LAVEGA logo.pngLAVEGA1045-33-
10위파일:OGN ENTUS 로고.svgOGN ENTUS15415633
11위파일:DAMWON.pngDAMWON Gaming1071-30
12위파일:Element_Mystic_No_Text.pngElement Mystic1050-26
13위파일:미카엘 로고.pngMichael15473825
14위파일:구터스 로고.pngGuters1049-24
15위파일:T1 LoL 로고.svgT11096-23
16위파일:ET logo.pngE-STATS Esports15444619
17위파일:DeToNator logo.pngDeToNator104129--패자부활전 탈락
18위파일:Team Revelation.pngTEAM Revelation104028-
19위파일:apkp.pngAPK Prince103034-
20위파일:Griffin logo.pngGriffin103727-
21위파일:오즈 게이밍 로고.pngOZ Gaming102925-
22위파일:TEAM ENORMOUS logo.pngTEAM ENORMOUS102422-
23위파일:KIM PIRATE logo.pngKIM PIRATE102916-
24위파일:Lowkey Esports Korea logo.pngLowkey Esports Korea10269-
25위파일:Mediabridge Square logo.pngMedia Bridge Square526---그룹 스테이지 탈락
26위파일:Practice Makes Perfect logo png.pngPractice Makes Perfect526--
27위파일:Quadro_logo.pngTeam Quadro524--
28위파일:archi13_black.pngArchi13523--
29위파일:Daewoo Company Falcon logo.pngDaewoo Company Falcon522--
30위파일:LVP logo.pngLVP518--
31위파일:SAMUEL e-sports club logo.pngSAMUEL E-SPORTS CLUB514--
32위파일:FarmPC E-sports logo.pngFarmPC E-sports511--


6. 평가[편집]


하루에 1번꼴로 리방이 발생하는 등 유독 퍼즈 및 경기 지연이 많이 발생했던 대회였다. 최근 1년내 OGN 경기장에서 진행된 배그대회 중에서 꼽아보아도 독보적이었다.

OGN은 이번 대회의 해설진을 기존의 고수진김정민서울컵 OSM 2019에서 입담이 좋았던 저스티스를 추가하여 로테이션을 돌리고 캐스터를 바꾸는 식으로 사용했다. 하지만 이것에 대해서는 OGN에서 오랫동안 이동진 캐스터가 배그 해설을 지켜왔으나 나오지 않았던 것, 3일간 심지수를 쓰다 갑자기 마지막날 단군이 나온것이 의아하단 평가가 있다. 그래도 3일간 심지수가 캐스터를 맡을 때는 기존 김동고 조합에서 다소 부족한 편이라 여겨졌던 킬로그 체크[4]가 꽤 철저해 긍정적 반응도 받았고 OGN 경기의 특징인 실시간 소통도 어느정도 해주는 모습을 보였지만 결승전 중계에선 실시간 소통요소가 없어졌고 중요한 시점에 해설로 전직한 지 얼마안된 저스티스와 PC배그 대회 중계가 뜸했던 단군이라는 요소가 겹치며 해설에 대한 평가가 갈렸다.[5]

스매시컵에서 시도한 페이즈별 차등 포인트 매트릭스는 대회 시작 전에는 부정적 의견이 압도적이었던 반면 대회 시작 이후 긍정적 반응도 나타났다. 초반교전이 많고 이를 옵저버를 갈아넣듯 운영하여 플래시백 리플레이를 선보이는 방식으로 최대한 동시교전 상황을 보여주기 위해 노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여전히 킬당 3점은 과했다는 의견이 많으며 3점 구간을 줄이거나 없애 2점 구간만 운영하고 순위방어 운영에 대한 순위점수 보상을 준다면 완성도 있는 룰로 바뀌지 않겠느냐는 평가가 많았다.

특히 선수들은 순위점수의 부재에 상당한 불만을 토로했다. OP.GG의 경우 최종전에선 1점 구간 킬이 아예 없었음에도 킬 포인트만으로 준우승을 했다. 또 사녹에서 공방 킬내기 수준의 부트캠프 교전이 벌어지고 여기서 로또를 맞으면 이후 에란겔에선 초중반 페이즈에 킬을 따고 죽는 순위방어 전략으로 전환할 수 있었던 것도 넓게보면 강팀이 뒤에 보이지 않는 부분으로 비판의 여지가 있었다.

경기 내용에 대한 부분에서는 우선 가장 주목받던 팀들 중 하나인 Guters가 아마추어 팀들 중 유일하게 파이널에 진출, 그것도 직행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여전한 실력을 입증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대회 내내 라이벌 구도로 불렸던 또 다른 인기팀 KIM PIRATE는 그룹 스테이지에서 분전해 10위로 패자부활전까지는 갔지만 패자부활전에서 탈락해 아쉬움을 남겼다.

최종 우승을 차지한 다나와는 리빌딩 이후 포탑 능력이 더 좋아졌다고 평가받고 있으며, 특히 청각의 폼이 상승한 것을 볼 수 있었다. PGC 선발전 당시 정말 아쉽게 2위로 탈락했기에 이번 PGS: Berlin Korea Qualifier에서는 진출할 수 있을지, 어떤 모습을 보여주게 될지 팬들의 기대를 한몸에 받고 있다.

OP.GG는 PKL 페이즈3까지만 해도 강등 위기에 빠졌던 팀이었지만 이번 스매쉬컵에서 훌륭한 교전력으로 준우승을 차지해 PKL 페이즈1, FGS 당시의 세계 최고 팀이었던 그 위상을 되찾을 수 있을지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직전 OSM에서는 다소 부진했던 점과 전술된 5페이즈 이후 점수가 없는 점으로 인해 킬포인트 매트릭스의 수혜를 입었을 뿐이라는 비판도 있다. 결국 실력으로 입증할 수 밖에 없는 문제.


7. 이모저모[편집]










7.1. 공식 홍보 영상[편집]


파일:INTEL BSC 2020 logo.png 인텔 배틀그라운드 스매쉬 컵 2020 공식 홍보 영상
개최 영상아마도인싸 1화
아마도인싸 2화아마도인싸 3화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0:18:58에 나무위키 인텔 배틀그라운드 스매쉬 컵 2020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19 PKL, PKC Phase3 잔류 팀 및 아마추어 팀[2] PC방 예선이란 별칭으로 불린 KeSPA의 정규클럽대회는 시즌 1과 2가 컨텐더스 오픈 슬롯 출전권이 걸린 정규 3부 리그로 운영되었다.[3] 1위부터 10점, 6점, 5점, 4점, 3점, 2점, 1점, 1점 이후 등수 0점 + 1킬당 1점[4] 화면에 잡힌 선수를 놀리는 과정에서 킬로그가 훅훅 지나가는 일이 많았다(...)[5] 결승전 동시간대에 심지수 캐스터와 김정민 해설은 KSL 중계진인 정우서 해설과 함께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코리아 오픈 대회를 중계하고 있었다.[6] 자세한 내용은 STARDOM Esports 문서 참고.[7] 참고로 로스터에 등록된 JuuN은 킴 파이럿이 기존 스타덤의 PKC 시드권으로 참가하고, 기존 멤버의 2명 이상이 로스터에 등록돼있어야 시드권이 유지되기 때문에 등록만 해놓은 것이다.[8] 킴 파이럿과 마찬가지로 로스터에 등록된 SaeYeon, Eggt4rt는 시드권을 보유했던 기존 멤버 2명 이상이 로스터에 등록돼있어야 시드가 인정되기 때문에 등록만 해놓은 것이다.[9] OSM, PWI 2019, 스매쉬컵

관련 문서